주식으로 파이어/주린이 종목추천

금투자? 지금은 금투자가 대세?

개미 부부의 투자 이야기 2022. 6. 8. 15:42
반응형
금값이 금값

 

한국금거래소 골드바


지난 기간 동안 세계적으로 코로나로 인해 장기간 유지되었던 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렸다. 시장에 많은 자금이 풀리고, 화폐의 가치가 점점 떨어지게 되었다.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물가를 체감하는 요즘 가장 인플레이션 시대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금'이다.


금은 왜 인플레이션에 강한 모습을 보일까?


금과 함께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손꼽히는 달러의 경우에는 법정화폐인 만큼 통제권이 '중앙은행'한테 있으며, 공급량은 '시중은행'이 조절하는 구조이다. 반면, 금은 어떠한 주체도 통제권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공급량 또한 자연에게서 온다.

금은 인류가 '금'이라는 광석을 발견한 이래 연간 1% 내외에서 생산량이 증가하는데 그쳤으며, 심지어 금은 채굴량이 한정적이라 더욱 가치를 상승시켰다.

또한 철저한 유통량 제한으로 인해 그 희소성이 시간이 갈수록 커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위기의 순간에는 항상 금값이 급등해 왔으며, 꾸준히 금값은 상승하여 화폐의 하락 가치를 방어해 왔다. 금은 안전자산으로 일부 자산을 금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수익성이 높지 않은 데다 단기적으로 물가상승 영향을 분산하는데도 큰 도움을 주지 않아 실용성 없는 자산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금 투자 방법



1. 실물거래

누구나 아는 방법은 금은 실물로 거래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실물거래는 추천하지 않는다.

한국금거래소 금시세


살 때, 팔 때 가격차이를 보면 319,500원에 매입하자마자 매도 가는 294,000원이 되어 25,500원이 마이너스다. 현물을 매입하는 순간 10%의 손실을 안고 가야 하기 때문에 실물거래는 투자목적으로는 추천하지 않는다.

2. 증권사 KRX 금시장에서 매매

2016년부터 증권회사에서도 금 거래가 가능해졌다. 증권사의 금 현물 전용계좌를 만든다면 주식처럼 거래가 가능하다.


위 와 같이 여러 가지 세금 혜택과 10%의 부가가치세를 부담하면 실물로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고 하자.

http://open.krx.co.kr/contents/OPN/01/01050201/OPN01050201.jsp

 

Market | 시장 안내 | 일반상품 | 금시장 | KRX금시장 소개

즐겨찾기 Google로 로그인 Google로 즐겨찾기 Facebook로 로그인 Facebook로 즐겨찾기

open.krx.co.kr



3. 금 ETF 매매

위 두 가지 모두 접근하기 어렵다면 골드 ETF가 있다. 대표적으로 KODEX 골드선물, TIGER 골드선물 있는데,

거래방법이 가장 간단한만큼 이자 배당소득세가 15.4% 가산되어 이 부분을 잘 고려해야 할 것이다.

정리


빅스텝으로 기준금리를 빠르게 올리면서 유동성을 흡수하는 데 성공한다면 인플레이션 안정화로 금 가격도 안정되거나 하락할 것이다. 반대로 인플레이션 통제에 실패한다면 금 가격의 급등 가능성이 존재한다.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인 금은 그 자체만으로 가치를 보전하고 있는 안전자산이다. 지금 당장 금 투자를 하지 않아도 꾸준히 관심을 가지며 시장의 흐름을 파악해야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