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보 꿀팁/준지는 세금박사 3

[비 사업용 토지] 2022 양도세 중과 강화 예정, 양도세 차이는?

비사업용토지, 내년부터 양도세 중과 강화 예정 ‘비사업용토지’란 농지, 임야, 목장용지, 그 외의 토지로 구분하여 판단한다. 시골에 농지를 가지고 있는데 이 농지가 사업용토지로 인정받으려면 일정 기간동안 재촌, 자경을 해야 한다. 먼저 ‘일정기간’이란 토지를 팔기 직전의 3년 중에서 2년 이상을 사업용으로 사용하거나, 직전 5년 중에서 3년, 또는 토지 보유기간의 60% 이상을 말한다. ‘재촌’이란 농지 소재지 또는 연접한 시·군·구(직선거리 30km 이내 지역 포함)에 살아야 한다는 뜻이고, ‘자경’이란 농지소유주가 직접 농사를 지어야 한다는 의미다. 예를 들면, 시골에 농지를 가지고 있는데 농지 근처에 살면서 3년 남짓 농사를 짓다가 그만두고 2년 이내에 판다면 사업용토지로 인정받을 수 있다. 양도일..

[새 정부의 세금정책] 양도소득세 재기산 제도 폐지

안녕하세요. 무빙이 입니다. 5월, 새 정부가 출범으로 세금 분야에도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 확정된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적 유예부터 앞으로 개정을 검토 중인 증여공제 한도 확대 및 상속세 완화까지 새 정부의 주요 세금 정책 방향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따라오시죠. [양도소득세]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1년간 한시적 유예 다주택자rk 조정대상지역 내에 있는 주택을 팔면 양도세가 중과됩니다. ‘양도세 중과’란 3년 이상 보유했더라도 장기보유특별공제를 해주지 않고, 2주택자의 경우 기본세율에 20%p, 3주택 이상자의 경우 30%p가 추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2022년 5월 10일부터 2023년 5월 9일까지 1년 동안은 다주택자 중과가 한시적으로 유예됩니다(단, 2년 이..

[취득세] 주택 취득세 중과세율 정리 (일시적 2주택, 주택 무상취득 중과세,양도소득세 중과 유예)

주택 취득세 중과세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두잉이 입니다. 요즘 부쩍 날씨가 많이 더워졌는데요. 가만히 있어도 더운거 같아요.. 몸은 늘어지지만 그래도 공부는 해야겠지요? 자, 오늘은 주택 취득세 중에서도 일시적 2주택자 주택 취득세 중과세율과 주택 무상취득시 중과세율을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주택을 취득하면 취득세를 납부하게 되는데요. 조정지역 대상에 따라, 주택수에 따라 취득세가 달라집니다.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중과세율 적용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여러가지 사례를 통해서 맛만 봐 볼까 하니 마음 편하게 따라오시죠..! 1. 조정대상지역에 1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非조정대상지역에 3억원 아파트를 추가로 취득하는 경우 세율은? ○ 기존 소유 주택의 ..